메뉴 건너뛰기

갤러리

변신은 달빛 아래서

이난순2023.12.15 11:12조회 수 84댓글 6

    • 글자 크기

 

 

 함지박을 인 머리에선 연기 피어 오르고 있다 

  제사공장에서 받은 수북한 주문                             

 

등교길에 만나는 그녀 에게선 고소한 소리 출렁인다

 입에서 외치는 뻔~ ~ ~

교복 입은 학생들 사이로 소리 비집고 들어간다

누군가의 손은 주머니로 들락거리고

누군가는 심호흡으로 배를 채우지

 

뽕잎에 새겨진 초록을 먹고 꿈을 키워온 누에

주인의 자장가로 실샘 키워 고개를 들고 말았지

집 지을 섶 찾느라

 

하얀실 토해내며 동굴을 짓고, 번데기로 문을 잠궜지

 

가마솥 가로 부르는 할머니

물레 저으면

 비단실로 솔솔 풀리던 하얀 누에고치

삶아진 번데기의 톡 터지는 육즙에 아이는 웃고

번데기의 하안거는 끝났다

 

남빛 명주치마,분홍저고리 추석빔으로

만월의 달빛 아래

술래놀이 하고 있는 누에

 

 

    • 글자 크기
그녀, 가을되다 어느 가을 달밤에

댓글 달기

댓글 6
  • '남빛 명주치마,분홍저고리 추석빔으로 만월의 달빛 아래 술래놀이 하고 있는 누에'

    이런 풍부한 추석의 낭만이 배인 뻔데기라 맛이 있군요

  • 강창오님께
    이난순글쓴이
    2023.12.16 21:15 댓글추천 0비추천 0

    어렸을 때의 추억은 왜 그리도 지워 지지도 않고 , 아름답게 어느 순간 pop up 되는지요!

    행복한 순간을 맛보게 해 주는 신의 손길처럼 말입니다

    입안에서 느껴지던 그 신선하던 번데기의 맛이란 표현할 길이 없으면서......

  • 난순쌤의 하늘을 날아오르는 사유의 세계에서

    하안거를 끝낸 번데기가 만월의 달빛아래

    강강수월래 춤을 추고 있네요

    시인의 세계에서만 볼 수 있는 끝없는 환생의 나라

    명주치마 저고리 속에서 출렁이고 있어요

    잘 감상했습니다.

  • 이설윤님께
    이난순글쓴이
    2023.12.22 22:31 댓글추천 0비추천 0

    어머니가 지어주신 명주 추석빔은 언제나 설레게 하였지요

    어느날엔가 그 명주치마 저고리 입고 학교에서 돌아오는데 비를 흠뻑 맞고 말았지요

    책보를 가슴에 안고, 오직 책을 적시지는 않겠다는 일념으로 달음박질 하여 집으로

    왔을 땐 이미 치마저고리에선 물이 뚝뚝 떨어지고....

    시골에서 자랐으니 누에 뽕잎 갉아먹는 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 있었던거 같아요! ㅎㅎ

  • 익숙한 단어인 함지박이 어떤 물건인지 아리송해 구글링했어요.

    세월이 바뀌며 잊혀지는 것도 많네요.

    글감이 되는 소재가 경험에서 나온다는 것에 동감이에요.

    캔푸드를 싫어하지만 가끔 마트에서 파는 번데기를 사 먹어요.

    추억의 음식이니까요.

  • 이경화님께
    이난순글쓴이
    2023.12.22 22:40 댓글추천 0비추천 0

    경화샘도 번데기를 좋아 하시는 군요!

    잊혀진 단어를 쓴다는 것은 글에서 올드한 느낌을 받는다는데.....?

    앞으로는 좀 더 신세대적인 생각과 글 을 써 보고싶은데 잘 되려는지 의문이 듭니다

     

    아이들 키울때 대화중에 '졸라' 라는 단어를 쓰길래 야단을 친 적이 있었어요

    좀더 순화된 표현을 사용하라고. 몇십년이 지나고 보니 그 단어가 국어 사전에도 올라와 있다고

    하더라고요.

    어쩌면 좋죠!?


- 1948년 충남 청양 출생
- 2014년 콜로라도 덴버로 이민
- 애틀랜타 문학회 회원
- 제6회 애틀랜타신인문학상 대상 수상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28 꼬리 밟힌 지능범10 2023.06.03 70
127 나팔꽃 귀 되어8 2023.06.29 62
126 강을 건너다8 2023.07.07 76
125 매미의 기도8 2023.07.26 72
124 그녀, 가을되다7 2023.11.26 82
변신은 달빛 아래서6 2023.12.15 84
122 어느 가을 달밤에6 2023.02.23 62
121 아버지의 퉁소6 2023.05.21 55
120 오늘도 맷돌 보수하러 간다6 2023.11.18 86
119 그녀의 등5 2023.09.23 71
118 숨어 있는 쥐4 2024.02.29 50
117 할머니의 심중4 2024.03.14 39
116 야외 잿떨이4 2023.04.30 37
115 그를 떠나 보낸 봄비4 2023.04.27 32
114 화살나무4 2023.04.14 35
113 불시착4 2023.03.19 42
112 연보라 가죽신4 2023.06.04 58
111 체리크릭 파크에서4 2023.07.30 98
110 가을 물드는 소리4 2023.09.07 62
109 길 위에 음표를 그리다4 2023.10.07 64
첨부 (0)